친구가 물었다.
"전고점에 쌓인 매물대를 뚫는다고 하잖아. 그게 무슨 말이야?
전고점을 못 넘을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매도 걸어놓은 걸 뚫는다는 말이야?"
설명을 이어가기 전에 친구의 질문에 대한 답을 하자면 "아니야"다.
질문에 대해 자세히 답변을 하기 위해서는 전고점과 매물대에 대한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한다. 전고점과 매물대에 대한 개념을 먼저 잡고 가보자.
1. 전고점이란?
전고점이란 과거의 고점을 의미한다. 차트에서 현재 시점 이전의 꼭짓점들이 모두 전고점이다.
아래 셀트리온제약의 예시를 들어보자. 초록색 원을 그린 부분이 셀트리온 제약의 전고점이다. 현재의 가격 121,000원 보다 높은 과거의 꼭짓점 부분들이다.
2. 매물대란?
거래가 많이 이루어졌던 가격대를 의미한다. 좀 더 와 닿게 말하자면, 사람들이 주식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가격을 의미한다.
현재 주가보다 높은 가격대에 주식을 보유한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만약 자신이 보유한 가격이 온다면 매도를 하고 싶어 할 것이다. 때문에 이 매물대는 가격이 상승하는데 방해가 되는 요소이다. 매물대가 저항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매물대는 차트 설정을 통해서 눈으로 확인해볼 수도 있다. 모든 주식 프로그램(HTS, MTS)의 차트 설정에 가면 매물대 항목을 찾을 수 있다. 이 항목을 체크하여 매물대가 표시되게 해 보자.
그러면 차트 위에 매물대가 그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람들이 거래를 많이 한 가격이자, 사람들이 주식을 많이 소유한 가격대이다. 위에서 전고점을 설명하면서 그렸던 전고점 영역(초록색 원)과 매물대와 캔들이 만나는 부분이 대부분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전고점이 매물대가 된 것인데, 이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바로 아래에서 설명하겠다.)
"전고점에 쌓인 매물대를 뚫는다는 것의 의미"
전고점에 왜 매물대가 쌓여있을까. 주가가 상승할 때 고점 매입한 개인들이 많기 때문이다.
경험해보았겠지만, 신기하게도 내가 산 가격이 고점일 때가 있다. 그 이후로 주가는 하락하고 그 고점이 전고점이 되는 것이다.
비단 나만의 경험이 아닐 것이다. 때문에 전고점에 주식을 보유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고, 매물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매물대가 주가 상승에 저항이 되는 것이다.
때문에 전고점에 쌓인 매물대를 뚫고 올라간다는 것은, 전고점(본전 매도 또는 저항선 매매)에서 매도하는 물량들을 모두 소화하면서 강한 상승 흐름을 타고 올라가는 것이라 의미가 있다.
이러한 강한 종목에 대해서 이유로 전고점의 매물을 소화하고 올라간다는 말을 하는 것이고, 친구는 이 말을 듣고서는 무슨 원리인지가 궁금했던 것 같다.
요약
전고점 = 현재가보다 높은 과거의 꼭짓점
매물대 = 거래가 많이 일어나 사람들이 주식을 많이 보유한 가격대, 저항선이 된다.
전고점에 쌓인 매물대를 뚫는다 = 저항을 뚫고 강하게 상승을 한다.
본 글에서 예시로 든 셀트리온제약은 금일 코로나 항체 치료제를 9월에 대량 생산한다는 이슈가 있다. 이 이슈와 함께 오늘 살펴본 전고점에 쌓인 매물대를 뚫고 올라갈지 한번 살펴보는 것도 좋겠다. 셀트리온제약과 더불어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도 올라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10월에는 GC녹십자가 항체 치료제를 내 놓는다는 뉴스가 함께 떴다. 이로 인해 관련 회사의 종목인 녹십자, 녹십자랩셀, 녹십자셀, 녹십자엠에스, 녹십자홀딩스도 전고점의 매물대를 뚫고 힘찬 상승을 보여줄지 살펴보며 공부해보자.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친구의 첫번째 질문, 주식투자에서 세력이 투자경고를 피하려는 이유
▶친구의 두번째 질문, 주식투자에서 세력이 개미털기를 하는 이유
▶친구의 세번째 질문, 주식투자에서 이유없이 지수(코스피/코스닥/나스닥)가 하락하는 이유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투자에서 내 종목만 안오르는 이유, 올라도 큰돈 못버는 이유 (0) | 2020.12.22 |
---|---|
주식투자에서 숏(short)과 공매도의 관계 (0) | 2020.09.16 |
주식투자에서 이유없이 코스피, 코스닥, 나스닥이 하락하는 이유 (0) | 2020.09.04 |
주식투자에서 세력이 개미털기 하는 이유 (0) | 2020.09.03 |
주식투자에서 세력이 투자경고를 피하려는 이유 (0) | 2020.09.02 |
댓글